티스토리 뷰

A카테고리

아쉬탕가 요가란 무엇일까?

바삭바삭쌀과자 2023. 12. 30. 19:25

목차



    반응형

    1. 아쉬탕가(Ashtanga) 요가란?

     

    나마스테(namaste).

    나마스테(namaste)란, 인도에서 쓰는 인사말입니다.

    이는 '당신 안에 있는 신에게 경의를 표한다.' 혹은 ' 있는 그대로의 당신을 존중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쉬탕가 요가에 대하여 알아보기에 앞서 가슴 앞에 합장을 하여 고개를 살짝 숙이고 소중한 나 자'신'을 향해 인사를 해봅시다.

     

    아쉬탕가 요가는 기원전 2세기 전후에 쓰인 파탄잘리(Patanjali)의 요가수트라 책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지식들이 담겨 있으며 연속적인 자세와 호흡에 집중하는 수준 높은 행법으로 총 8단계로 나뉩니다.

     

    Ashtanga = Asht(8) + Anga(단계)

    산스크리트어인 Asht(8) 그리고 Anga(단계)의 합성어로 '여덟 단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8단계란, 타인에 대한 금기사항(야마), 자신에 대한 권고사항(니야마), 동작(아사나), 호흡(프라나야마), 감각 제어(프라티야하라), 집중(다라나), 명상(디아나), 삼매(사마디)로 구분됩니다.

    이 모든 8단계를 수련하는 것이 아쉬탕가 요가를 수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아쉬탕가의 8단계

    1) 야마 (yama)

    야마란 타인에 대한 금기사항을 뜻합니다.

    즉,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을 이야기합니다.

    야마를 지킴으로써 자기 자신의 에너지를 올바른 방향으로 강화시켜줍니다.

    에너지를 낭비하거나 분산 또는 억제하는 일 없이 내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에너지를 보내주는 수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명의 에너지는 유한하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해주어야만 그 잠재력을 충분히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야마 안에는 아힘사(비폭력), 사트야(거짓 없이 진실됨), 아스테야(훔치지 않음), 브라흐마라치야(지나치지 않음), 아파리그라하(무소유) 총 5가지가 있습니다.

     

    2) 니야마 (niyama)

    니야마란 자신에 대한 권고사항을 의미합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스스로 지켜야 할 개인적인 도덕적 요소, 즉 나 자신과의 관계를 말합니다.

    니야마 역시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샤우차(청결, 정화, 순수함)

    산토샤(만족, 평온)

    타파스(고행, 시련의 불)

    스와디야야(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공부)

    이스바라 프라니다나(승복, 내맡김, 삼매)

     

    3) 아사나 (asana)

    아사나란 동작, 자세를 뜻합니다.

    명상을 준비하는 자세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요가 동작들을 이야기합니다.

    앞서 소개한 야마와 니야마의 단계가 탄탄하게 다져졌을 때야 비로소 아사나가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4) 프라나야마 (pranayama)

    프라나야마란 호흡을 뜻합니다.

    호흡을 통해서 에너지의 컨트롤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5) 프라티야하라 (pratyahara)

    프라티야하라란 감각 제어, 자기통제를 뜻합니다.

    감각의 에너지를 나의 내면으로 모으는 것을 의미합니다.

     

    6) 다라나 (dharana)

    다라나란 집중을 뜻하는데 이는 마음을 한곳으로 집중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즉, 몰입의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7) 다야나 (dhyana)

    다야나란 명상을 뜻합니다.

    명상과 집중을 통해서 마음의 활동이 완전히 멈춘 고요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8) 사마디 (samadhi)

    사마디란 삼매를 뜻합니다.

    모든 것이 하나가 되고, 나와 우주의 합일 상태를 삼매의 경지에 다다랐다고 얘기합니다.

     

     

    끝으로, 요가 수련을 한다 함은 단순히 육체적인 접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내면적인 것에 집중하는 것이야말로 수련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쉬탕가 8단계를 이해하고 그 규정에 따라 수련을 할 때 8개의 가지가 뻗어져 자라납니다. 이 8개의 가지들은 알맞은 때가 되면 싹을 틔워 자라나기 시작합니다. 나무의 성장은 재촉할 수 없으며 요가에 대한 이해가 무르익을 때 나무는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아쉬탕가 요가는 우리 삶의 모든 면을 관통하여 흐릅니다. 어떠한 선택을 하든 아쉬탕가 요가의 무르익은 열매를 수확하는 방법은 오직 수련 뿐 입니다.

    반응형